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우주코딩

서블릿 기술의 등장, 서블릿 구조, 구현체의 버전과 프로그래밍, Tomcat 서버 구성요소, 서블릿 프로그래밍 준비 본문

Project

서블릿 기술의 등장, 서블릿 구조, 구현체의 버전과 프로그래밍, Tomcat 서버 구성요소, 서블릿 프로그래밍 준비

우주코딩 2021. 11. 4. 22:46

서블릿 기술의 등장

web Browser web Server <-> App Server -> DBMS <-> 파일

웹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연결할 표준화된(웹서버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
=> 자바팀에서 servlet 기술을 만들게 됨

web Browser <->  web Server   <->   서블릿 서버(외부에 제공)
HTTP Client          HTTP Server         웹서버와의 연결담당, 웹App 실행을 담당

 

서블릿(개발자가 담당) -> 호출 -> DBMS -> 입출력 -> 파일

서블릿 구조

web Server -> 서블릿 서버 -> 서블릿
서블릿 서버와 서블릿은 servlet 기술 명세에 따라 동작한다
서블릿 = Server Application+작은조각(let) 서버측에서 실행하는 작은 어플리케이션
서블릿 서버 = 개발자가 작성한 서블릿의 인스턴스를 생성, 실행, 소멸 서블릿의 lifecycle을 관리한다. 공식적으로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서블릿 기술

web Server와 연동하고 표준적인 방법을 정의한 것
웹 서버 제품이 무엇인지 상관없이 어떤 개발자가 웹 app. 를 작성하는지 상관없이 동작하게 만드는 기술 (표준화)

 

web Server <-> 서블릿 컨테이너 -> 서블릿
서블릿 기술 명세에 따라 만든 서버 & 서블릿 기술 명세에 따라 만든 App (우리가 하는 일)
그 사이에서 서블릿 기술 명세에 따라 호출

 

Servlet Container -> Servlet App.
JEUS
WebLogic
WebSphere
JBoss
Tomcat
Jetty

서블릿 컨테이너가 호출할 수 있는 서블릿 앱을 만든다.

JavaEE (Enterprise Edition)

기업용 App. 개발에 필요한 기술 명세 모음
ㄴ 다수의 사용자- 동시 접속 + 보안 + 자원관리 기능 요구

ㄴ 앱 사용과 관리- 서버 기술 요구 (web app 기술, 분산컴포넌트 기술, 접속관리)

구현체의 버전과 프로그래밍

톰캣 7.x 으로 servlet 3.0, JSP 2.2 규칙에 따라 동작하도록 서버를 만들었다.
따라서 개발자는 Tomcat 7.x 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servlet 3.0 / JSP 2.2 규칙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Wrapper 기술의 등장 및 존재 이유

  1. 오리지널 기술을 사용
    java ee 8-> 서블릿 작성
    jakarta ee 9 -> 서블릿 작성
  2. Wrapper 기술 사용
    java ee 8 wrapper 기술 -> App. 작성
    jakarta 9 wrapper 기술 -> 새로 작성할 필요가 없다.

Tomcat 서버 구성요소

Tomcat Server
web Browser <-> web server

web server 8080 <-> Servlet container
ㄴ 테스트용 작은 웹서버를 내장하고 있다. = 보통 개발용으로 사용

 

Servlet Container <-> Apache Web Server <-> Web browser
Servlet Container <-> Ngin X Web Server <-> Web browser

이클립스 IDE용 웹 프로젝트 관련 작업을 수행할 플러그 인 장착

서블릿 프로그래밍 준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