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코딩
MVC 패턴 등장 배경, servletRequest 저장소, 서블릿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저장소 본문
MVC패턴 등장 배경
servlet container <-> servlet <-> dao <-> DBMS
servlet - 요청 받아서 dao 실행(제어-controller), 결과HTML 생성(화면-view)
dao - 데이터 처리/준비 (데이터 다루기-model)
client device = pc, 스마트폰 등이 servlet container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다.
클라이언트 유형과 요구하는 콘텐츠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출력 콘텐트를 한가지로 고정할 수 없게되었다.
MVC 패턴 적용 후
저장소 - servletRequest
Servlet Container -> Servlet -> JSP
service() = ServletRequest, ServletResponse
forward() = request, response
요청처리에 참가하는 서블릿끼리 데이터 공유할 때 사용하는 것이 ServletRequest 보관소
서블릿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저장소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파일 경로와 url, JSP 실행 과정, servlet / JSP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0) | 2021.11.04 |
---|---|
CSS(Casacade Style Sheet) 지정 (0) | 2021.11.04 |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블릿의 관계, 웹 애플리케이션 구동 과정, 서블릿 구동 과정, 서블릿 만들기 (0) | 2021.11.04 |
서블릿 기술의 등장, 서블릿 구조, 구현체의 버전과 프로그래밍, Tomcat 서버 구성요소, 서블릿 프로그래밍 준비 (0) | 2021.11.04 |
Application Architecture, Application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0) | 2021.11.04 |
Comments